▲ '중국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징둥로지스틱스가 한국 경기 이천에 최근 마련한 자체 물류센터.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중국이 미국발 관세에 대응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로 수출을 확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아시아 각국이 중국 상품 유입으로 현지 제조업이 침체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응책을 마련하는 모습도 소개됐다.
1일(현지시각)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관세와 같은 미국 정부 압력에도 아시아 각국이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는 선택지는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 다수에 최대 교역국이라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한국이 수입한 중간재 가운데 3분의 1 이상은 중국에서 왔다. 같은 기간 일본과 베트남이 공급받은 중국산 중간재 비율도 각각 19% 및 38%다.
중간재란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필요한 원자재나 부품 등을 뜻한다.
지금도 아시아 각국의 중국산 수입품 비중이 높은데 미국발 관세 인상을 계기로 이러한 추세가 더욱 강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한 재벌기업 임원 발언을 인용해 “중국이 (관세로) 아마존에서 제품을 팔 수 없다면 쿠팡에서 판매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는 대중 145%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아시아 동맹국에도 중국 공급망 의존을 낮추도록 압박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공급망을 끊어내는 일이 사실상 불가능해 미국이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아시아 다수 국가가 중국산 제품 유입에 대비해 관세를 비롯한 무역장벽을 서둘러 도입하고 있다는 내용도 거론됐다.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중국산 열간압연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2월20일 잠정 책정했다. 반덤핑 관세란 정상 가격 이하로 수출되는 상품에 수입국이 부과하는 관세다.
일본 또한 용광로 소재 가운데 하나인 중국산 흑연 전극에 비슷한 관세를 매겼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중국산 저가 섬유 유입으로 자국 공장이 위기에 처했다며 밀수 선박을 침몰시키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고 아시아 공급망에서 차단하려고 바라지만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다만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중국이 2022년 연말 이후 가장 저조한 월별 수출을 기록한 데다 부동산 경기 침체 및 디플레이션까지 겪고 있다며 관세 타격이 없지 않다는 점을 함께 짚었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