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2.5% 늘어난 1774억 원, 영업이익은 43.7% 줄어든 40억 원을 달성하여 영업이익이 다소 부진했다.
2분기 전문의약품(ETC)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19.5% 늘어난 약 1290억 원으로 견조한 성장세를 이었다. 주요품목 그로트로핀이 약 329억 원의 견조한 매출을 달성했으며 도입약품 자큐보정이 약 110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여 새로운 ETC 매출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민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자큐보, 오팔몬, 주블리아 등의 도입신약 매출 비중이 상승함에 따라 이익 손상은 불가피했다”고 밝혔다.
2분기 해외사업부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5.5% 늘어난 약 397억 원으로 비교적 견조한 성장을 이어나갔으나 고수익 품목 캄보디아향 박카스가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인하여 캄보디아 경제성장률이 악화되며 수출이 부진했다.
단, 하반기에는 자큐보의 매출이 수익구간으로 진입하며 이익 개선을 도모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연간 2025년 동아에스티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13.2% 증가한 약 7252억 원, 영업이익은 11.3% 감소한 288억 원으로 전망한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는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 ROW 국가로 확대하는 등 다방면에서 매출을 도모하고 있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관련 로열티 매출은 반기정산으로 3분기부터 반영되어 다음 분기부터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출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민정 연구원은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업황에 따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관련 로열티 매출을 2025년 약 31억 원 및 2026년 약 68억 원으로 하향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동아에스티의 핵심 품목인 성장호르몬 그로트로핀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으나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성장률이 둔화되고 있어 도입신약의 매출 비중이 상승하게 되어 이익률 훼손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불어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역시 바이오시밀러 시장 업황 변화에 따라 추정치를 하향조정했다. 단, 회사의 R&D 모멘텀이 올해 4분기 다가오는 바 리레이팅을 기대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