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의 2분기 연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5.5% 늘어난 1조803억 원, 영업이익은 102.8% 증가한 869억 원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
2분기 백화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3.6% 줄어든 5901억 원, 영업이익은 2.3% 감소한 693억 원을 기록했다.
장민지 교보증권 연구원은 “워치&주얼리 부문을 제외한 전반적인 제품군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전체 매출 성장률을 둔화됐다”고 밝혔다.
다만, 2분기 이후 내수 소비 진작과 폭염 영향 등으로 미드 싱글 이상의 성장률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년 기저효과까지 더해지며 하반기 실적 개선 폭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2분기 면세점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22.0% 늘어난 2935억 원, 영업적자 13억 원을 기록했다. 환율 영향에 대응한 전략적 판매 정책으로 일평균 매출은 1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2분기 중 동대문 폐점에 따라 일회성 비용 17억 원이 반영됐으며, 이를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4억 원으로 수익 개선세가 본격화되고 있다.
2분기 지누스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1.2% 증가한 2295억 원, 영업이익은 291억 원으로 흑자전환했다. 전년 동기대비 매출 성장의 주된 요인은 글로벌 판매 증가에 기인한다.
다만, 트럼프 관세 정책에 따른 수요 위축과 중국 비매트리스 공장 이전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매출은 감소했다. 전분기 대비 영업이익 증가는 반덤핑 무효 소송 관련 환입액 확대에 기인하며, 이를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92억 원으로 1분기(108억 원) 대비 감소했다.
현대백화점은 2분기 중 사상 처음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하며 주주환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줬다. 하반기에는 중국 무비자 정책 시행, 내수 소비 진작 및 전년 기저효과에 따른 백화점 실적 개선, 관세 불확실성 완화와 글로벌 매출 확대에 따른 지누스의 실적 안정화 등 긍정적 요인이 다수 존재한다.
장민지 연구원은 “주주환원 정책의 본격화와 실적 개선 기대가 맞물리는 구간으로, 업종 내 톱픽 의견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현대백화점의 2025년 순매출액은 전년대비 5.5% 늘어난 4조4167억 원, 영업이익은 44.6% 증가한 4106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