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우리나라의 올해 9월 수출이 한미 관세협상 영향 속에서도 3년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5년 9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9월 수출액은 659억5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2.7% 증가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한국의 9월 수입은 564억 달러로 1년 전보다 8.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차감한 9월 무역수지는 95억6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전체 수출 실적을 끌어올리면서 역대 9월 수출액 기록을 경신했다.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보다 22.0% 증가한 166억1천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HBM, DDR5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수요가 늘면서 메모리 가격 상승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수출액도 1년 전보다 16.8% 늘어난 64억 달러로 역대 9월 자동차 수출액 최고 기록을 세웠다.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수출 모두 증가했다. 자동차 부품 수출도 전년 동월보다 6% 증가한 19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선박 수출액도 전년 동월보다 21.9% 증가한 28억9천만 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일반기계 수출액도 아세안,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1년 전보다 10.3% 증가한 4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밖에 바이오헬스(35.8%), 석유제품(3.7%), 디스플레이(0.9%), 섬유(7.1%), 가전(12.3%) 등 다른 주력 품목의 수출도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수출 주요 지역 9곳 가운데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대미 수출은 102억7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4% 감소하는 데 그쳤다. 반면 대중 수출은 전년보다 0.8% 증가한 116억8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다른 주요 지역별 9월 수출액 증가율은 아세안 17.8%, 유럽연합(EU) 19.3%, 중남미 34.0%, 일본 3.2%, 중동 17.5%, 인도 17.5%, 독립국가연합(CIS) 54.3% 등이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 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 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해 이룬 값진 성과”라며 “아직은 미국 관세 협상 등 우리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한 대응을 해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5년 9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9월 수출액은 659억5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2.7% 증가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3년6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2025년 9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9월 수출액은 659억5천만 달러로 3년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산항 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9월 수입은 564억 달러로 1년 전보다 8.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차감한 9월 무역수지는 95억6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와 자동차가 전체 수출 실적을 끌어올리면서 역대 9월 수출액 기록을 경신했다.
반도체 수출액은 전년보다 22.0% 증가한 166억1천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HBM, DDR5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수요가 늘면서 메모리 가격 상승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수출액도 1년 전보다 16.8% 늘어난 64억 달러로 역대 9월 자동차 수출액 최고 기록을 세웠다. 순수전기차(EV)·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차와 내연기관차 수출 모두 증가했다. 자동차 부품 수출도 전년 동월보다 6% 증가한 19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선박 수출액도 전년 동월보다 21.9% 증가한 28억9천만 달러로 7개월 연속 증가했다.
일반기계 수출액도 아세안, 중동, 중남미 등 신흥시장에서 좋은 실적을 거두면서 1년 전보다 10.3% 증가한 4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밖에 바이오헬스(35.8%), 석유제품(3.7%), 디스플레이(0.9%), 섬유(7.1%), 가전(12.3%) 등 다른 주력 품목의 수출도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수출 주요 지역 9곳 가운데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대미 수출은 102억7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4% 감소하는 데 그쳤다. 반면 대중 수출은 전년보다 0.8% 증가한 116억8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다른 주요 지역별 9월 수출액 증가율은 아세안 17.8%, 유럽연합(EU) 19.3%, 중남미 34.0%, 일본 3.2%, 중동 17.5%, 인도 17.5%, 독립국가연합(CIS) 54.3% 등이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대미 수출이 위축되는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 시장 포트폴리오를 신속히 다변화해 이룬 값진 성과”라며 “아직은 미국 관세 협상 등 우리 수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으로 경각심을 갖고 기민한 대응을 해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