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무장관 "일본 5500억 달러 투자금 회수하면 미국이 수익 90% 확보" 재차 강조

▲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이 11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플로어에서 CNBC와 인터뷰하고 있다.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상무부 장관이 일본과 관세 협상에 따른 대미 투자와 관련해 초기 수익을 절반씩 나눈 뒤 향후에는 미국이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11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일본이 미국에 투자할 5500억 달러(약 763조 원)와 관련해 초기에는 수익을 5대5로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투자는 미국이 투자 위원회를 만든 뒤 대상 사업별로 일본에 자본금을 요청하는 방식이다. 일본 측이 이와 관련해 거두는 수익 절반을 미국에서 가져가겠다는 구상이다.

이어 러트닉 장관은 “일본이 투자금을 모두 회수한 이후에는 수익 배분 비율을 미국 90%, 일본 10%로 바꾼다”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이 인터뷰에서 일본과 합의 내용을 재차 강조한 것은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를 압박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일본 정부는 7월22일 미국 트럼프 미국 정부와 관세 협정을 최종 타결하면서 5500억 달러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미국은 일본산 제품에 상호관세와 자동차와 부품 등 일부 품목별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확정했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의 투자금을 미국 내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항생제 생산 설비 건립 등 제조업에 지원할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였다.

그는 일본에서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면 아무 비용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 관점에서 좋은 거래”라고 평가했다. 

이번 인터뷰에서 러트닉 장관은 한국도 언급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아직 문서에 서명하지 않아 무역 관련 논의를 하지 않았다”며 “한국은 협정에 서명하거나 (25%의) 관세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7월30일 한국 정부는 미국에서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무역 협정에 최종 서명은 하지 않았다.

한국은 이를 대가로 3500억 달러(약 486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미국 정부가 일본과 합의 내용을 근거로 한국에도 투자 수익을 미국에 유리한 쪽으로 분배하자는 압박을 강화할 가능성이 나온다. 이근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