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크래프톤이 SK텔레콤과 함께 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LLM) 3종을 공개했다.

크래프톤은 28일 SK텔레콤과 공동으로 개발한 7B(70억 개 파라미터) 규모의 추론 특화 언어 모델 3종을 공개했다. 모델은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 공개돼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크래프톤, SK텔레콤과 공동 개발한 언어 모델 3종 공개

▲ 크래프톤과 SK텔레콤이 공동개발한 대규모 언어모델 3종이 오픈소스로 28일 공개됐다. 


이번에 공개한 모델은 수학 문제 해결과 코드 개발에 특화된 소형 언어 모델로 크래프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학습 기법을 적용했다. 

회사에 따르면 공개된 모델은 수학 추론 벤치마크 AIME 25에서 뚜렷한 성능 향상을 기록했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공간 지각과 논리 추론이 요구되는 수학 영역은 게임을 포함한 고난도 AI 응용 기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이번 모델이 게임 중심 AI 기술 확장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크래프톤과 SKT는 각각 기술 고도화와 인프라를 분담하며 협력을 이어왔다. 

크래프톤은 기존 언어모델의 취약점을 보완한 ‘오답 복기 학습 기법’을 자체 개발해 틀린 문제의 정답과 오답을 비교 학습하는 방식으로 추론 정확도와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SKT는 데이터 검증과 모델 학습을 위한 인프라를 담당해 모델의 품질 안정성 확보에 기여했다.
 
김지원 SK텔레콤 AI모델 랩장은 “두 기업의 기술로 고성능 언어 모델을 개발해 소버린 AI 전략 실현의 초석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AI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데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 본부장은 “이번 SKT와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대형 언어 모델 개발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독자적인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이를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크래프톤은 이번 언어 모델에 적용한 학습 기법을 게임 플레이 분석, 전략 판단 등 게임 특화형 AI 응용 기술 고도화에 활용한다. 

나아가 다양한 규모의 LLM을 개발해 한국형 AI 기술 생태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