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GS건설이 저수익공사 영향이 축소되면서 영업이익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으로 예측되고 있는 기업가치 2조 원 수준의 자회사 GS이니마 매각도 재무구조에 긍정적이라고 평가됐다.
 
신한투자 "GS건설 저수익공사 영향 축소, 영업이익 매분기 성장 가능"

▲ GS건설이 영업이익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파악됐다. 


김선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GS건설 목표주가 2만5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1일 GS건설은 1만8420원에 거래를 마쳤다.

GS건설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3조1524억 원, 영업이익 7820억 원을 낸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3분기보다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29.9% 늘어난 것이다.

3분기 추정 영업이익은 시장 기대치(컨센서스) 12.2%를 밑도는 수준이다.

GS건설의 3분기 영업이익 부진은 상반기 대비 도급증액 정산효과가 축소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GS건설은 8월 말 기준 신규분양이 1만2천 세대로 집계되면서 연간 목표 2만 세대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GS건설은 건설업계에서 실적 회복의 가시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도 예상됐다. 공정률 확대로 플랜트 매출이 늘고 주택사업은 공사비 인상 효과가 나타나 저수익공사 영향에서 벗어나는 방향성이 분명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김 연구원은 “주택 신규착공 증가와 플랜트 매출 성장을 고려하면 GS건설 영업이익은 매분기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GS이니마 매각은 GS건설의 차입금을 축소시킬 것으로 기대됐다.

김 연구원은 “GS이니마는 인수후보자를 2곳으로 압축해 내년 초 매매계약 체결이 예정됐다”며 "기업가치 약 2조 원으로 매각시 재무구조가 큰 폭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GS건설은 올해 연결기준 매출 13조857억 원, 영업이익 3665억 원을 거둘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보다 매출은 2.6% 감소하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하는 것이다. 김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