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외국인투자자들이 금리 완화와 반도체업황 개선 기대감에 국내 주식을 사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17억2천만 달러 순유입으로 집계됐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023년 8월 17억 달러 순유출로 전환한 이후 10월까지 순유출이 이어져오다 11월 순유입으로 돌아서 두 달 연속으로 순유입세가 지속됐다.
12월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자금은 25억2천만 달러 순유입으로 나타났다. 11월 26억4천만 달러 순유입 전환 이후 두 달 연속으로 순유입세가 이어졌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완화하고 반도체업황이 회복되고 있다는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자금은 7억9천만 달러 순유출로 집계됐다. 11월 18억6천만 달러 순유입에서 한 달 만에 다시 순유출로 전환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연말을 앞두고 적극적 투자가 제한되는 가운데 국내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일부 투자자의 차익실현 등으로 소폭 순유출됐다”고 설명했다. 조승리 기자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12월 이후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17억2천만 달러 순유입으로 집계됐다.

▲ 지난해 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이 17억2천만 달러 순유입으로 집계됐다고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했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2023년 8월 17억 달러 순유출로 전환한 이후 10월까지 순유출이 이어져오다 11월 순유입으로 돌아서 두 달 연속으로 순유입세가 지속됐다.
12월 외국인의 국내 주식투자자금은 25억2천만 달러 순유입으로 나타났다. 11월 26억4천만 달러 순유입 전환 이후 두 달 연속으로 순유입세가 이어졌다.
한국은행은 “글로벌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완화하고 반도체업황이 회복되고 있다는 기대감이 이어지면서 순유입이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12월 외국인의 국내 채권투자자금은 7억9천만 달러 순유출로 집계됐다. 11월 18억6천만 달러 순유입에서 한 달 만에 다시 순유출로 전환한 것이다.
한국은행은 “연말을 앞두고 적극적 투자가 제한되는 가운데 국내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일부 투자자의 차익실현 등으로 소폭 순유출됐다”고 설명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