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에이피알이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성장에 힘입어 국내외에서 지속적인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상장 이후 초기 주가 변동성에 따른 위험은 유의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10일 에이피알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연평균 35% 성장 전망되고 이에 동사의 성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상장 초기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이피알은 국내 홈 뷰티 디바이스 기업으로 해외 8개 법인을 통해 화장품 및 홈 뷰티 디바이스 수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향후에도 제품 라인업 다양화와 해외 시장 개척으로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적인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성장도 에이피알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2023년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약 40억 달러(약 5조 원)로 추정된다. 2030년까지 연평균 35%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며 이는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성장 속도 대비 약 7배 빠른 수준이다.
홈 뷰티 디바이스는 화장품 사용보다 더 전문적인 케어를 받고 싶지만 전문 클리닉의 높은 가격대가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어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에이피알은 2024년 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피알의 공모 희망가액은(공모가액은 상장할 때 정하는 가격을 의미) 14만7천 원에서 20만 원, 공모가 기준 예상 시가 총액은 1조1149억 원에서 1조5158억 원이다.
키움증권은 에이피알이 2023년 매출 5200억 원, 영업이익 1천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보다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155% 늘어나는 것이다. 배윤주 기자
다만 상장 이후 초기 주가 변동성에 따른 위험은 유의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 에이피알이 국내외에서 지속적인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됐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10일 에이피알 보고서에서 “2030년까지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은 연평균 35% 성장 전망되고 이에 동사의 성장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판단한다”며 “다만 상장 초기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스크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에이피알은 국내 홈 뷰티 디바이스 기업으로 해외 8개 법인을 통해 화장품 및 홈 뷰티 디바이스 수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향후에도 제품 라인업 다양화와 해외 시장 개척으로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계적인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성장도 에이피알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2023년 글로벌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 규모는 약 40억 달러(약 5조 원)로 추정된다. 2030년까지 연평균 35%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며 이는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성장 속도 대비 약 7배 빠른 수준이다.
홈 뷰티 디바이스는 화장품 사용보다 더 전문적인 케어를 받고 싶지만 전문 클리닉의 높은 가격대가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어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에이피알은 2024년 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피알의 공모 희망가액은(공모가액은 상장할 때 정하는 가격을 의미) 14만7천 원에서 20만 원, 공모가 기준 예상 시가 총액은 1조1149억 원에서 1조5158억 원이다.
키움증권은 에이피알이 2023년 매출 5200억 원, 영업이익 1천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보다 매출은 31%, 영업이익은 155% 늘어나는 것이다. 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