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투자자의 20일 평균 거래대금 상위 종목. <한국투자증권>
31일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과도한 쏠림과 투자경보 등을 고려해 2차전지 투자는 당분간 지양할 필요가 있다”며 “과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굳이 투자경보가 뜬 종목을 지켜볼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2차전지 테마로의 자금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스닥 황제주 에코프로가 장중 150만 원을 넘겼던 26일에는 코스닥 거래대금이 26조5천억 원을 기록했다.
코스닥 뿐 아니라 코스피시장에서도 포스코(POSCO)홀딩스를 필두로 포스코그룹주가 2차전지 수혜주로 부각되면서 거래대금 상위 중목을 대부분 차지했다.
김 연구원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시장에 대규모 유동성이 유입된 걸 감안해도 막대한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이동한 걸 알 수 있다”며 주식거래 활성화의 배경에는 2차전지산업 성장 기대감과 이전보다 완화된 자금조달 환경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자금 조달비용이 낮아진 점이 쏠림현상을 가속화했다고 말했다.
4%대 후반의 가계대출금리와 평균 5% 후반대의 마이너스대출금리 등 낮아진 연초와 비교해 낮아진 금리가 레버리지 사용을 자극했다는 것이다. 이에 레버리지를 이용한 2차전지 투자가 급증했다고 김 연구원은 분석했다.
그는 “다만 경계할 부분은 이미 신호가 나왔듯 2차전지 테마로만 너무 돈이 쏠렸다는 점이다”며 “시장 흐름이 투자자 바람대로 간다면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만약 그 반대로 간다면 상당한 손실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불안 요소다”고 내다봤다.
투자경보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한국거래소는 시장경보를 통해 과열 상황을 보여주는데 최근 투자주의종목과 투자경고종목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금양과 포스코DX는 신용사용이 불가한 투자경고종목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김 연구원은 “주가를 받쳐줄 매수세가 없다면 굉장히 불안한 흐름을 나타날 수 있단 점을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