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국민의당에 정권교체를 위해 연립정부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이른바 문재인 대세론을 굳히면서 국민의당을 중심으로 ‘빅텐트’가 만들어지는 것을 견제하려는 뜻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우 원내대표는 2일 국회에서 진행한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힘을 합치면 정권교체가 확실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라며 “두 정당의 통합이 어렵다면 연립정부 협상을 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 원내대표는 현재의 4당 체제에서 어떤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돼도 여소야대의 구도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안정적 국정운영이 불가능하다며 이렇게 제안했다.
그는 “여소야대 국면에서 개혁도, 개헌도 불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그동안 당 차원에서 그동안 연립정부 구성에 소극적 태도를 보여왔는데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야권연대 가능성을 내비친 데 이어 우 원내대표가 대표연설을 통해 다시 한 번 입장을 밝힌 셈이다.
문 전 대표는 1일 서울 노원구청에서 열린 민주당 대선후보 초청강연에서 “저와 당은 야권연대, 공동정부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정권교체라는 대의에 동감하는 야권정당이나 정치인이라면 누구와도 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권교체라는 명분을 부각하면서 야권의 분열 가능성을 낮추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조기대선이 가시화하는 가운데 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독주하면서 최근 여야를 막론하고 개헌 등을 매개로 연합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국민의당을 중심으로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국민주권개혁회의 의장, 정운찬 전 총리 등이 연합을 추진하고 있다.
우 원내대표가 개헌을 대선 전에 추진하지 않는 대신 논의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점도 문재인 대세론에 반대하는 움직임을 견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
||
▲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와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 |
그는 “개헌특위에서 논의를 거쳐 이견을 좁혀 적어도 다음 지방선거에서 국민투표를 실시하도록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 원내대표의 연립정부 제안에 국민의당은 반대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우 원내대표의 연설이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항상 선거 직전에만 통합이라는 이야기를 꺼내는 것을 두고 국민들은 식상하다고 느낄 것”이라며 “이번 대선은 저와 문 전 대표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예전부터 말해왔다”고 밝혔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도 “그런 공허한 이야기(연립정부)는 이제 국민의당에게 예의를 갖추는 의미에서 그만해 달라고 공식적으로 요구한다”며 “국민의당이 정권교체를 이룰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