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에서 법적분쟁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수주를 포기하고 프랑스 EDF에 기회를 넘길 수 있다는 현지언론 보도가 나왔다. 체코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한수원의 입찰 경쟁사였던 프랑스전력공사(EDF)와 유럽연합(EU)이 적극 견제에 나선 만큼 체코 정부가 결국 EDF와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12일(현지시각) 체코 e15는 “한수원이 두코바니 원전 사업과 관련한 법적 분쟁을 고려해 자발적으로 계약을 포기할 수 있다는 전문가 관측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e15는 체코 거대 미디어그룹 CNC가 소유한 경제 전문 종합지다.
한수원이 두코바니 원전 건설을 포기한다면 체코 정부가 입찰 과정에 참여했던 EDF의 제안을 다시 검토하고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이어졌다.
체코 정부와 체코전력공사(CEZ)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입찰 과정을 거쳐 한수원을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그러나 입찰 경쟁사로 참여했던 웨스팅하우스와 EDF가 체코 반독점 당국에 이의를 제기하는 등 적극적으로 견제에 나서며 규제 및 법률 관련 리스크가 불거졌다.
체코 당국은 경쟁사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한수원이 결국 계약 절차를 진행하게 됐다.
하지만 한수원과 체코 정부의 최종계약 체결을 하루 앞두고 체코 법원이 EDF의 소송 결과가 나올 때까지 계약을 체결할 수 없다는 판결마저 내놓으며 변수가 더욱 커졌다.
프랑스 출신의 유럽연합 고위 당국자마저 체코 정부에 한수원과 계약 절차를 연기하라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며 전방위적 압박이 이어지고 있다.
E15는 에너지 컨설팅업체 ENA 연구원 및 독립에너지 공급자협회(ANDE) 사무총장인 이르지 가보르의 말을 인용해 “한수원과 계약 체결이 미뤄지면서 결국 체코 차기 정부의 몫으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가보르 사무총장은 차기 정부도 두코바니 원전 사업에 분명한 의지를 두고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뒤 상황이 크게 바뀌고 있다고 진단했다.
계약 체결이 미뤄진 데다 한국에서 벌어진 쿠데타, 원자력 에너지를 바라보는 한국 정부의 시각, 한수원이 웨스팅하우스와 합의를 통해 유럽 내 프로젝트에서 철수할 가능성 등이 변수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체코 투자회사 내트랜드의 페트르 바르톤 연구원은 EDF가 한수원을 대신해 두코바니 원전 사업 계약을 따낼 가능성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바라봤다.
EDF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체코 현지 기업들의 참여 비중을 한수원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제안한 만큼 현지에서 더욱 선호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르톤 연구원은 “EDF가 유럽에서 다수의 원전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점도 체코 정부의 선택을 받기 유리한 조건”이라며 “경제적 이점도 크다”고 분석했다.
투자회사 XTB의 이르지 틸레첵 연구원은 한수원과 체코 정부의 계약 지연에 따른 금전적 손해가 매우 커질 것이라는 예측을 전했다.
두코바니 원전 사업의 일정이 이미 빠듯한 상황에서 법적 리스크 등으로 일정이 더 미뤄진다면 프로젝트 완성 시점도 기존 목표와 비교해 늦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e15는 결국 “한수원이 법적 리스크 때문에 두코바니 원전 사업을 포기한다면 EDF가 다시 게임에 복귀할 수 있다”며 “다만 EDF와 계약이 체코 정부 입장에서 큰 장점은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