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교육부의 학제개편안을 소모적 논쟁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근본적 제도를 마련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학제개편의 핵심을 봐야 한다”라며 “교육개혁은 이번 정부에서 이뤄내야 할 가장 중요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개혁과제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안철수 "학제개편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교육개혁에 사회적 합의 필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학제개편에 관한 의견을 제시했다.


학제개편은 단순히 입학연령을 1년 앞당기는 문제가 아니라 현재 6-3-3-4(초등학교 6년, 중·고등학교 3년, 대학교 4년) 제도가 미래사회에도 적합한지를 검토한 뒤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바라봤다.

안 의원은 “지금 논의가 단지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1년 낮추네 마네 하는 지엽적인 문제에 머무르는 것이 안타깝다”며 “지금의 6-3-3-4 학제를 바꿀 필요가 있는지,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그리고 교육의 내용은 어떻게 바꿔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의 인성과 창의력을 키우고 적성을 찾아줄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교육개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의 6-3-3-4 학제는 산업화시대에 맞춰져 있다고 평가했다. 

안 의원은 “70년 전인 6.25 전쟁 중에 만든 6-3-3-4 학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라며 “산업화 시대에는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지만, 지금의 아이들이 미래사회를 준비하기에는 ‘낡은 틀’이다”라고 말했다.

안 의원은 만3세부터 공교육을 받는 학제개편 대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는 “유보통합(유치원과 어린이집 과정을 통합) 뒤 만 3세부터 2년간 공교육 유아학교를 다니고 만 5세부터 5년간 전일제 초등학교를 다니는 것을 시작으로 대학도 20~30대만이 아닌 각 지역의 평생교육 센터로 기능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이들의 교육 때문에 부모들의 경력단절이 되는 것을 막고 교육의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교육개혁에 있어 ‘사회적합의’를 강조했다.

안 의원은 “먼저 교육개혁의 필요성에 대해 전 국민적인 공감대를 형성한 다음 교육개혁의 큰 틀과 핵심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이루어나갔다면 소모적인 논란에 머물지 않았을 것”이라며 “국가교육위원회의 논의에서도 정부 주도로 흐르기보다는 국회, 학부모, 학생, 공교육자, 사교육자 등 이해 관계자들이 모두 모여 사회적 합의를 해나가는 지혜를 발휘해야한다”고 말했다. 김대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