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자금지원절차를 단순화하고 국내 주력산업을 점검해 다양한 극복방안을 내놓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물가관계차관회의 및 5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소상공인 자금지원과 관련해 "4월1일 이후 기업은행을 통해 9만 건, 시중은행을 통해 4만 건 수준의 대출접수가 이뤄졌다"며 "업종별 동향을 살피면서 필요하다면 절차와 조건을 평소보다 단순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관련 부처와 함께 주력업종이 겪는 애로사항도 밀착 점검 중"이라며 "정부는 주력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도약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 관광·항공·해운·외식 등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주요 업종과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금융지원에 나서고 있다.
김 차관은 "관광기금 부담보 특별융자는 이미 330억 원을 집행해 5월 내 1천억 원의 집행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며 "저비용항공사(LCC)를 위한 금융지원 역시 3천억 원 가운데 1260억 원을 집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객·화물선사에 관한 일부 금융프로그램은 지원액 이상으로 민간기업의 신청이 들어오고 있어 4월 중 신속한 자금 집행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로 식량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에도 대응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김 차관은 "주요 식량 생산국인 러시아·베트남·우크라이나 등에서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쌀 등 주요 식량 작물 재고에 여유가 있지만 각국의 수출제한조치가 장기화할 것에 대비해 국제 곡물시장 모니터링 등을 통해 선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물가관계차관회의 및 5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에서 소상공인 자금지원과 관련해 "4월1일 이후 기업은행을 통해 9만 건, 시중은행을 통해 4만 건 수준의 대출접수가 이뤄졌다"며 "업종별 동향을 살피면서 필요하다면 절차와 조건을 평소보다 단순화하겠다"고 말했다.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
그는 "관련 부처와 함께 주력업종이 겪는 애로사항도 밀착 점검 중"이라며 "정부는 주력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도약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 관광·항공·해운·외식 등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주요 업종과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금융지원에 나서고 있다.
김 차관은 "관광기금 부담보 특별융자는 이미 330억 원을 집행해 5월 내 1천억 원의 집행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며 "저비용항공사(LCC)를 위한 금융지원 역시 3천억 원 가운데 1260억 원을 집행했다"고 말했다.
그는 "여객·화물선사에 관한 일부 금융프로그램은 지원액 이상으로 민간기업의 신청이 들어오고 있어 4월 중 신속한 자금 집행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19로 식량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에도 대응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김 차관은 "주요 식량 생산국인 러시아·베트남·우크라이나 등에서 식량 수출을 제한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쌀 등 주요 식량 작물 재고에 여유가 있지만 각국의 수출제한조치가 장기화할 것에 대비해 국제 곡물시장 모니터링 등을 통해 선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