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톡why] 'LTE 속도 20배' 28GHz 5G통신에 통신사는 왜 소극적인가 재생시간 : 3:49  |  조회수 :  |  윤휘종 기자, 김원유PD

최근 국내에 출시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이 연달아 밀리미터파(mmWave) 5G통신 지원 안테나가 빠진 채 출시되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이 일반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밀리미터파 5G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굳이 안테나를 탑재해 출고가격을 올릴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나오지만 밀리미터파 5G통신을 하루빨리 사용할 수 있길 바라는 소비자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과연 밀리미터파 주파수(28GHz)를 활용하는 5G통신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5G통신과 어떻게 다를까?

이동통신사는 왜 밀리미터파 5G통신을 기업과 소비자(B2C)서비스가 아닌 기업과 기업(B2B)서비스 위주로 제공하겠다고 하는 걸까?

5G통신 서비스는 크게 3.5GHz의 sub-6(6GHz 이하의 주파수)대역 주파수를 사용하는 5G통신과 28GHz처럼 초고주파수 대역, 밀리미터파를 사용하는 5G통신으로 나뉜다.

밀리미터파 5G통신은 sub-6 5G통신보다 약 4배, LTE통신보다 약 20배 빠르다. 이동통신사와 정부가 5G통신 상용화 전에 5G통신 서비스를 광고할 때 'LTE보다 20배 빠르다'고 광고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5G통신을 '진정한 5G통신'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는 5G통신 상용화 이후 2년이 지난 현재까지 밀리미터파 5G통신을 일반소비자에게 서비스하지 않고 있다.

이동통신사들이 밀리미터파 5G통신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전파의 특성을 이해해야 한다.

28GHz와 같은 고주파수 대역 전파, 밀리미터파의 가장 큰 단점은 전파가 장애물을 만났을 때 장애물을 피해가는 성질인 회절성이 약하다는 것이다. 

밀리미터파는 장애물을 sub-6 주파수 전파보다 장애물을 잘 피해지 못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에 망을 구축하기가 어렵다. 같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회절성이 강한 전파보다 더욱 인프라를 촘촘히 구성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로 5G통신서비스 상용화 이전부터 전국망 구축에는 sub-6 5G통신을 사용하고, 밀리미터파 5G통신은 특정 지역에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등 보완적으로 활용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정재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5G통신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전 내놓은 레포트에서 "기술 및 비용의 문제로 초기에는 3.5GHz가 주력으로 사용되고 일부 핫스팟에서만 28GHz가 사용될 것"이라며 "28GHz의 이용이 본격화되는 시점은 기술·장비의 발전 속도, B2B, B2C 수요증가, 통신사의 투자 결정에 달려 있다"고 예상하기도 했다.

문제는 밀리미터파 5G통신 인프라의 구축이 예상보다도 많이 늦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용빈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8월 말 기준으로 통신사들이 설치한 밀리미터파 5G통신 기지국 개수는 0개다. 통신사들은 2019년에 28GHz 주파수를 할당받으면서 2021년까지 1만5천 개의 기지국을 깔겠다고 했는데 이 약속이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있는 것이다.

물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기지국 구축이 어려웠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일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또한 밀리미터파 5G통신의 빠른 속도를 일반 소비자가 활용할만한 콘텐츠 역시 많이 나오지 않은 상태인만큼 밀리미터파 5G통신 인프라의 B2C서비스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sub-6 5G통신도 아직 전국망이 완전히 갖춰지지 않아 무늬만 5G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밀리미터파 5G통신의 지원도 늦어지면서 불만을 표시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다. 

통신사도 답답하고 사용자들은 불만이 늘어가는 상황, 5G통신이 언제쯤 일반소비자들의 생활을 바꿀 수 있는 '차세대 통신기술'로서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채널Who 윤휘종 기자]ⓒ 채널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